본문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최수산나·김태수 박사 연구팀이 인삼 사포닌의 주요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b1'이면역조절을 통해 천식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동물실험과 세포실험을 통해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천식은 완치가 어려운 만성 호흡기 질환.
반응의 증폭을 유도하는 핵심 인자임을 규명했다ˮ면서 "특히, 슬러프가 자가면역질환과 바이러스 감염에서 공통적으로 작동하는면역조절자라는 점에서, 슬러프를 타깃으로 한면역균형조절전략이 다양한 질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ˮ라고 말했다.
높게 나타났고, 슬러프를 억제했을 때 비정상적인면역반응이 완화되는 경향도 관찰됐다.
이는 슬러프가 감염과 자가면역질환 모두에서면역반응을조절하는 중요한 분자 스위치라는 사실음 뒷받침한다.
김유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슬러프 단백질이 엠티.
착안해 슬러프가면역증폭의 핵심 인자임을 입증했다.
김 교수는 "슬러프가 자가면역질환과 바이러스 감염에서 공통적으로 작동하는면역조절자"라며 "슬러프를 타깃으로 한면역균형조절전략이 다양한 질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원, 홍문기 엔테로바이옴 선임연구원, 윤혜진 포스텍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생.
식품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인체 내에서면역·혈당조절에 관여해 신약 후보로 지목되는 장내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이 경쟁하며 생장이조절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신약 개발 전문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와 손잡고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면역조절기능을 갖춘 신규 항체를 기반으로 글로벌 최초의면역조절항체접합체(AIC) 개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면역반응조절단백질 규명한 KAIST 김유식 교수 연구팀 [KAIST 제공.
슬러프를 억제했을 때 비정상적인면역반응이 완화되는 경향도 관찰됐다.
이는 슬러프가 감염과 자가면역질환 모두에서면역반응을조절하는 중요한 분자 스위치라는 사실음 뒷받침한다.
김유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슬러프 단백질이 엠티.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융합연구부 최수산나·김태수 박사 연구팀은 인삼 사포닌의 주요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b1이면역조절을 통해 천식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밝혔다.
15일 한의학연에 따르면 인삼의 약효를 내는 핵심 물질로 '사포닌.
한국한의학연구원(한의학연)은 최수산나 한의약융합연구부 선임연구원, 김태수 연구부장 연구팀이 gRb1이면역조절을 통해 천식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알러지’에 4월 19일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